생활 속 보험, 놓치지 마세요

보험은 어렵고 복잡하다는 편견, 이젠 NO! 일상 속 궁금한 순간, 놓치기 쉬운 보장까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:)

생활 팁

🏠 전세사기 예방 체크리스트 – 집 볼 때 꼭 확인할 것들

Jun.Kyum 2025. 4. 11. 18:02
반응형
SMALL

전세집 구하러 다닐 때, "집 상태만 괜찮으면 되지"라고 생각하기 쉬운데요.
전세사기는 집이 아니라 ‘등기부등본 속 글자’에서 시작됩니다.
2025년 현재도 피해가 계속되고 있어요. 그래서 오늘은 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를 정리해봅니다!


✅ 1. 등기부등본 확인 – 이건 기본 중의 기본!

📌 확인 포인트

  • ▶️ 소유자 = 계약 상대방이 맞는가?
  • ▶️ 근저당, 전세권, 가압류 등 ‘빨간 줄’ 있는가?
  • ▶️ 건물 전체가 경매나 압류 상태 아닌가?

🔍 TIP: **인터넷 등기소(www.iros.go.kr)**에서 1,000원에 열람 가능
→ 집 보러 가기 전 미리 출력해가세요!


✅ 2. 전입신고 & 확정일자, 언제 받아야 할까?

계약 후 바로 전입신고 + 확정일자 = 내 보증금 지키는 핵심 수단

📌 이 순서대로 해야 안전해요

  1. 계약 후 등기부 재확인
  2. 집주인에게 잔금일 맞춰 전입신고 OK 받기
  3. 동사무소에서 확정일자 받기 (등본상 주소 기준)

✅ 3. 집주인이 전세금 반환 능력이 있는지 확인

📌 이런 경우 주의!

  • 다세대/다가구에서 집주인이 대출을 많이 끼고 있는 경우
  • 임차인 여러 명인데, 나만 전입일이 늦은 경우
  • 집주인이 법인 혹은 외국인인 경우

🔍 TIP: 주변에 사는 사람에게 집주인 평판 물어보는 것도 좋아요.


✅ 4. 보증보험 꼭 가입하기

“나는 깔끔하게 계약했으니까 괜찮겠지” → 전세사기는 ‘남 일’이 아닙니다.

📌 가입처

  • HUG(주택도시보증공사)
  • SGI서울보증

👉 보험료는 임대보증금의 0.1~0.3% 수준 (조건별 차등)
👉 계약서 작성 전/후 모두 가능, 계약 전에 하면 더 안전!


✅ 5. “이상한 직감”이 들면 바로 멈추기

  • 집주인이 계약 서두를 때
  • 등기부 등본을 미리 안 보여주려 할 때
  • 주변 시세보다 유독 저렴할 때

👉 이런 땐 두 번, 세 번 확인하고 진행하세요.
👉 필요한 경우 부동산 전문 유튜버나 카페에 문의도 OK!


📝 한눈에 보는 전세사기 예방 체크리스트

항목체크내용확인방법
등기부등본 소유자 일치, 담보 여부 iros.go.kr에서 열람
계약자 정보 집주인 실명 확인 신분증/등본 비교
전입신고 계약 후 즉시 진행 주민센터 방문
확정일자 전입 후 바로 받기 주민센터에서 신청
보증보험 계약 전 가입 권장 HUG, SGI 등에서
가격 비교 시세보다 저렴한지 확인 부동산앱/인근 부동산
주변 정보 집주인/임차인 정보 이웃/전입세대 열람

✨ 마무리 Tip

전세는 인생에서 수천만 원이 걸린 큰 선택이에요.
등기부등본부터 보자!’는 말을 항상 기억하세요.
확실히 확인하고, 보험 가입까지 마무리하면 전세사기? 걱정 없습니다. 😉

반응형
LIST